2024.07.1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2℃
  • 흐림강릉 21.8℃
  • 구름많음서울 24.9℃
  • 구름많음대전 24.8℃
  • 흐림대구 23.6℃
  • 울산 23.1℃
  • 흐림광주 23.5℃
  • 부산 22.4℃
  • 흐림고창 23.4℃
  • 흐림제주 25.8℃
  • 구름많음강화 22.8℃
  • 구름많음보은 23.5℃
  • 구름많음금산 23.4℃
  • 구름많음강진군 24.0℃
  • 흐림경주시 23.3℃
  • 흐림거제 22.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X세대를 위한 Y세대 속마음 번역기

(한국물류서비스신문) “입사 일주일 만에 퇴사가 말이 돼?”

 

X세대 팀장님을 당황케 만든 Y세대 신입. Y세대 역시 엄격한 위계질서와 보수적인 조직문화를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조직 내 세대갈등으로 고민 중인 X세대 중간관리자들을 위해 Y세대를 이해하고 이끄는 노하우 알려 드릴게요!

 

Y세대는 이런 생각한다!

1. 금전적 보상보다는 워라밸

월급으로 내 집 마련이 좌절된 Y세대는 진급이나 금전적 보상에 대한 기대가 약합니다. 적당한 업무량과 개인의 성장, 우호적인 분위기가 있을 때 동기 부여가 되죠.

 

2. 회식보다는 자유시간

학원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Y세대는 단체로 어울려 노는 것이 익숙지 않습니다. 퇴근 후에는 자신이 주도권을 쥐는 자유시간과 이를 가능케 하는 적당한 업무량을 원합니다.

 

3. 의견과 보상은 즉각적으로

“잘하고 있다”, “이것은 이렇게 수정하면 좋겠다” 등의 즉각적 피드백은 Y세대를 움직이게 합니다. 연말 평가나 승진 때 챙겨주겠다는 말보다 커피 한 잔 사는 것이 더 독려되죠.

 

4. 조직에 의미 있는 사람임을 주지시켜라

Y세대는 늘 관심과 보살핌의 대상으로 자랐습니다. 따라서, 그가 하는 일이 허드렛일이 아니라 조직의 중요한 일임을 친절히 설명하고 가르친다면 적극적으로 따를 것입니다.

 

5. 과정은 명확히

Y세대는 X세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인권 의식과 주권 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작은 일이라도 공정성과 투명성이 있는 것이 좋겠죠?

 

Y세대 다음은 Z세대! 이제는 조직이 변해야 할 때

앞으로 기업 경쟁력은 새로운 세대의 인재를 얼마나 잘 유치하고 활용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라 불리는 Z세대를 대비하기 위해, 지금부터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만들어 보세요.


생활물류

더보기
퀵서비스 시작 과 미래
퀵서비스 시작 과 미래 1993년3월 역사적인 날 퀵서비스라는 업종이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이 되었다. 주)퀵서비스 임항신 대표가 그주인공이다. 그는 1992년 당시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일본에서 보았던 오토바이 특송사업을 우리나라에서도 적용을 하면 대성할것이라고 확신을 갖고 1993년 3월 부터 본격적으로 퀵서비스사업을 시작하였다. 당시만 해도 용산전자상가나 을지로,동대문,세운상가등에 가전제품이나 컴퓨터,주방기구등을 배송하는 사람들은 있었지만 서류,샘플 등 급하게 배송하는 업체는 없었던것이다. 처음 시작할때는 기업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모르고 사용하지못하였으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서 매스컴(동아일보)에서 1994년 6월 처음 보도가 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하고 전화가 빗발치듯 물량이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그때만 해도 주먹구구식의 오더 배차로는 한계가 있다고 느끼던중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시스템을 배워 접목하면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퀵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발전한 이유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퀵서비스협회의 탄생이 아닌가 싶다. 냇가의 모래알 처럼 동네 어귀마다 각각 따로 영세사업을 하던 퀵서비스 업체들을 한데모아 영세시장속 환경을

사회·문화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축구를 인생처럼 인생을 축구처럼 즐기자
축구를 인생처럼 인생을 축구처럼.......... 찌는듯한 6월 어느 여름날 주인공 사업장에 방문을 했다 정신없이 일하느라 대화를 할수가 없어서 한참을 기다렸을때, 드디어 주인공을 볼수 있었다. 날씨가 상당히 더운데 힘들지 않은가요? 라고 물었을때 그는 지긋이 웃음을 지어 보였다. 이정도 가지고 힘들다고 하면 안되지요~ 누구나 다 한가지씩 자기만의 인생 스토리가 있듯이 그에게도 그런 인생 스토리가 있었다 젊은시절 고향 전남 순천을 떠나 서울에서 기술을 배우던 어린시절 누구나 그렇듯이 참 많이 힘들고 외롭던때를 아직도 생각하곤 한단다. 지금은 조금 낳아졌지만 그때만 하더라도 기술을 배우기가 엄청 어렵고 힘들었던 터라 커리어가 쌓여 기술자가되고 나의 사업장에서 일을 한다는게 꿈만 갖기도 하다, 그래서, 지금 아내와 함께 일하는 사업장이 너무나 고맙고 행복하다고 한다. 이런 행복을 그는 축구에서도 느낀다고 한다 동료들과 어울려 공을 찰때면 힘들고 지칠때도 있지만 이시간을 잘 넘기면 골도 넣고 게임도 이기고 이렇게 기쁜시간도 올거라 믿기 때문이다. 나의 본캐는 카센타사장이고, 부캐는 마포구 합정팀의 축구선수이다 축구를 사랑하는 모든 시니어들이 같은 마음일거라 생각한

포토리뷰

더보기